JOO YOUNG LEE
  • Home
  • Portfolio
  • About
    • Biography
    • Client
    • History
  • Contact

Forest Series

I worked with attention to the fact that humans look at the present with memories reconstructed through memory and emotion. That is, the present we see is not an objective view, but a subjective view, considering past experiences as different memories in the range of time that flows toward the present. The forest series is the result of this theme, and nature (forest) appears to me as a component that modernizes memories and draws them into image memory. It is a forest that we have ever seen with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it faces the viewer through the medium of human being left alone in the work as nature that exists by the image of memory and lonely  emotion.

나는 인간이 기억과 감정에 의해 재구성된 기억으로 현재를 바라보는 점에 주목하여 작업을 하였다. 즉, 우리가 바라보는 현재는 객관적인 시각이 아닌 주관적인 시각으로 과거의 경험을 현재에 빗대어 흐르는 시간의 범위에서 각각 다른 기억으로 구상하며 바라본다는 점이다. 숲시리즈는 이러한 주제의 결과물로써, 자연(숲)은 내게 기억을 현재화하여 이미지기억으로 이끌어내는 요소로 등장한다. 심리적인 시각으로 언젠가 보았던 것 같은 숲이지만, 기억과 고독한 감정의 심상에 의해 존재하는 자연으로 작품 안에 홀로 남겨진 인간을 매개체로 관객과 마주한다.

Beyond Forest
2016
MEDIUM : Oil on canvas
SIZE : 260x162cm

This is mainly a picture of how memories are revived in the present and the time of circulation. The memory is being recreated in layered colors, and the depth of memory is being expressed simultaneously by a mixture of different colors. It is a landscape where the trees and the leaves of the trees representing me, are intermingled with the images of the forest in various places, including memory. It also has a cyclical character with the time-periodic consciousness that recognizes memories and emphasizes each object through bright spots that rise in the dark.
‌
‌기억이 현재에 재생되는 과정과 순환성의 시간을 주되게 그린 작품이다. 층층이 올려 쌓인 색들로 기억이 재생하는 과정을 보이며, 여러 가지 색의 혼합으로 기억의 깊이를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나를 대변하는 나무와 나뭇잎의 대상을 가진 여러 장소의 숲의 이미지를 기억과 함께 발췌하여 혼합한 풍경이며, 기억을 인식한 의식에 의해 진행되는 시간성으로 순환적인 성격을 띄며 어둠속에서 피어오르는 밝은 부분들을 통해 대상 하나하나를 강조하고 있다.

Beyond Emotion
2016
MEDIUM : Oil on canvas
SIZE : 233x91cm

This work focuses on the time of circulation, and the parts intended to be emphasized by setting a long horizontal canvas were expanded in chronological order. It shows the range of time that flows from left to right. The work, which shows the range of time that flows from left to right, gradually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memories and feelings of loneliness are softened through light and shade by time.
‌
‌순환성의 시간에 주목한 작품으로, 가로로 긴 캔버스를 설정하여 강조하고자 한 부분들을 시간의 순서대로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흐르는 시간의 범위를 보여주는 작품은 왼쪽에서 오른쪽순으로 진행되며 시간에 의해 점차 고독의 기억과 감정이 명암을 통해 순화되는 느낌을 준다. 

Private Forest
2016
MEDIUM : Oil, Oil pastel on canvas
SIZE : 112x162cm

‌With the most concrete expression of human being, a human expressed with a look of solitude is soon wiped out with a single brush. There is no human expression other than this picture, which is to share with the viewer the present image of the memory with an atmosphere composed and directed by feelings and memories of solitude, not limited expressions.

가장 구체적인 인간이 등장하는 작품으로, 고독한 감정을 표정으로 표현한 인간은 이내 하나의 조각된 붓질로 지워진다. 이 그림 이외에는 인간의 표정이 등장하지 않는데 이는 한정적일 수 있는 표정이 아닌 고독의 감정과 기억으로 구성되고 연출되어진 분위기로써 관객과 현재의 이미지기억을 공유하기 위해서이다.

Deepest Forest
2016
MEDIUM : Oil on canvas
SIZE : 130x162cm

With the most concrete expression of human being, a human expressed with a look of solitude is soon wiped out with a single brush. There is no human expression other than this picture, which is to share with the viewer the present image of the memory with an atmosphere composed and directed by feelings and memories of solitude, not limited expressions.
‌
‌여러 색으로 중첩된 검은 배경이 주되게 나타난다. 검은 배경은 동양의 먹처럼 깊이감을 가진다. 나에게 검정은 고독의 그림자임과 동시에, 밝게 피어오를 수 있는 원동력이다. 이러한 점을 강조한 작품은 검정의 배경을 통해 물체를 환하게 밝힘으로써 새로운 희망이 공존하는 기억과 감정을 표현했다.

 Blue Scenery
2015
MEDIUM : Oil on canvas
SIZE : 130x162cm

Using oil painting, which is a material of the West, it is repeated over and over in several layers in an Oriental manner, instead of the traditional westernization method, so that the bottom color is exposed and the color appears on the top. Continue to accumulate color so that the original surface of the canvas is visible. This technique, which means the reproduction of memory, is the process of visualizing my memories with temporality, as the layer of color appears in the last layer of color.
‌
‌서양의 재료인 유화를 사용하지만, 기존의 서양화 방식이 아닌 동양의 방식으로 엷게 여러 겹으로 붓을 쓸어내듯 반복하여 올려 밑 색이 드러나면서 위에 색이 발색되도록 한다. 캔버스의 본래의 면이 비칠 만큼 엷게 색을 계속 쌓는다. 기억의 재생을 의미하는 이 기법은 층층이 쌓이는 색은 결국 마지막에 쌓인 색에서도 발색되면서 시간성을 갖는 나의 기억을 떠올리는 과정 그 자체가 된다.

Brown Scenery
2015
MEDIUM : Oil on canvas
SIZE : 130x162cm

This shows the feature of the fragmented configuration by connecting the photographs by memory. The space that is woven into the photo collage, which does not depend on the perspective, has a flat structure. Here, each side has an implicative symbol and presents a chapter that can be thought of as different sizes of color or fragmented brushwork and area.
‌
‌기억에 의해 사진을 이어 연결함으로써 조각화된 구성의 특징을 보인다. 원근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포토꼴라쥬로 엮여진 공간은 평면적인 구성을 띈다. 이 안에서 면은 함축적인 상징성을 띄며, 색상 혹은 조각화된 붓질, 면적의 각기 다른 크기들로 생각할 수 있는 장을 제시한다.

Forest #04
2014
MEDIUM : Oil, Oil pastel on canvas
SIZE : 162x130cm

It is a work that expresses the dynamics of emotion through leaves and drawing lines using oil pastels. I expressed feelings that were united with nature by using a knife to reveal its face in an empty space below.
‌
‌오일파스텔을 이용하여 나뭇잎과 도로잉적인 선을 통해 역동적인 감정의 고조를 표현 한 작품이다. 아래에 빈 여백에 나이프를 이용하여 면을 드러냄으로써 자연과 하나되는 감정을 표현했다.

Forest #01 / Forest #02
2013
MEDIUM : Oil, Oil pastel on canvas
SIZE : 117x92cm

This was the first work of the Forest series, which was characterized by a macro-view of the forest and feelings of solitude. For me, forest is an element that can create a pictorial space that is not tied to the laws of physics, and can add a variety of imaginations in three dimensions. This is the first work that I had this view, and it shows the first scene of a forest where emotion has been introduced.
‌
‌숲시리즈에 가장 시초가 되었던 작품으로 거시적관점의 숲과 고독의 감정이 주되게 나타난다.  나에게 숲은 물리법칙에 얽매이지 않는 회화적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요소로, 다양한 상상을 입체적으로 가미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관점을 처음으로 가졌던 작품으로 감정이 이입된 숲의 처음 모습이 나타난다.